조경의 최근 동향
- 2000년대로 넘어 오면서 생태환경에 대한 고려가 더욱 심화되어 생태적이며 친환경적인 설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연구 생산하기 시작하여 생태통로, 생태연못, 자연형 하천, 투수성 포장 등의 친환경적인 설계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 2010년대 이후에는 경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축물이나 공원 등과 같은 개별 대상과 도시 구조와의 관계를 도시를 작동하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개념으로 파악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조경의 개념이 도시적 차원으로 확장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 인용 : 조경계획·설계(임승빈,주신하/보문당)
제임스 코너가 말하는 Landscape urbanism
James Corner is the author of an essay entitled "Terra Fluxus." He has identified four general ideas that are important for use in Landscape Urbanism. They are as follows:
- Process over time - Understanding the fluid or changing nature of any environment and the processes that affect change over time. A respect for natural processes (Ecology) - the idea that our lives intertwine with the environment around us, and we should therefore respect this when creating an urban environment. Landscape Urbanism is concerned with a working surface over time – a type of urbanism that anticipates change, open endedness and negotiation.
- Horizontality - The use of horizontal alignment in landscaping, rather than relying on vertical structuring.
- Working Methods /Techniques - Those who practice the idea of landscape urbanism should be able to adapt their techniques to the environment that they are in.
- The imaginary - That in many ways the failing of twentieth century planning can be attributed to the absolute impoverishment of the imagination to extend new relationships and sets of possibilities.
imp
# From Wikipedia
'조경 자격증 이론 세이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0) | 2021.05.11 |
---|